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01 경제학 공부/화폐공급이론13

화폐공급의 내생성(feat 외생성), 통화공급함수란, MMT란 안녕하세요. 지금 이 순간도 경제적 자유를 위해 힘껏 노력하고 있는 경제 지식 전파 소입니다. 오늘 이 시간은 통화공급함수와 화폐공급의 내성성과 외생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살펴보기 전에 아래의 포스팅을 먼저 읽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화폐란 무엇인고 본원통화 그리고 통화승수에 대해 공식에 대한 증명까지 자세하고 정성껏 작성하였습니다. 1. 화폐란 무엇인가, 통화량과 통화지표, 금융이란 2. 화폐의 공급 - 본원통화란, 통화량 조회 방법 3. 신용창조원리, 통화승수란(통화승수 공식) 화폐공급의 내생성이란(feat 화폐공급의 외생성)화폐공급의 내생성은 영어로 Endogenous money supply로 화폐공급이 여러 가지 경제 환경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 2023. 5. 12.
신용창조원리, 통화승수란(통화승수 공식) 안녕하세요. 지금 이 순간도 경제적 자유를 위해 힘껏 나아가고 있는 경제 지식 전파 소입니다. 오늘은 여러분에게 통화량에 대한 이해에 있어 정말 중요한 신용창조, 통화승수 그리고 화폐공급곡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신용창조란(예금통화창조란)신용창조란 영어로 credit creation으로 금융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상업 은행 등 금융 기관이 예금을 받아 돈을 빌려주고 돈을 빌린 기업 또는 개인이 빌린 돈의 전체 또는 일부를 다시 예금을 하고 은행은 다시 이 예금을 이용하여 또 다른 기업 또는 개인에게 돈을 빌려주는 과정을 통해 예금통화를 창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금은행이 금융기관 본사 또는 중앙지점으로부터 받은 예금을 본원적예금이라고 합니다. 즉 예금은행의 본원에서 받은 예금을 말하는 .. 2023. 5. 6.
화폐의 공급 - 본원통화란, 통화량 조회 방법 안녕하세요. 지금 이 순간도 경제적 자유를 위해 힘껏 달려가고 있는 경제 지식 전파 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제학에서 말하는 화폐의 공급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때 금리 인하, 2012년 유로존 금리 인하와 양적완화 정책, 일본의 디플레이션 탈출을 위한 양적완화 정책, 2015년 중국 주식시장 폭락 후 주식시장 안정화를 위해 역사적으로 지금까지 세계 각국은 본원통화를 이용하여 경제 안정화 정책을 꾀하였습니다. 결과는 의도된 거와 다를 수 있지만 적어도 실제 경제에서 쓰이고 있는 중요 경제 안정화 기능으로 꼭 알아야 하는 개념입니다.화폐의 공급 - 본원통화란본원통화는 영어로 High-Powered Money 로 중앙은행의 창구를 통해 시중에 나온 현금입니다. 중앙은행은 본원통화를 .. 2023. 5. 1.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