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02 경제 상식227

HS 코드란 HS Code 조회 방법 및 엑셀 안녕하세요. 오늘도 당신과 같이 경제적 자유를 꿈꾸고 실행을 하고 있는 경제 지식 전파 소입니다. 오늘은 국제무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HS Code란국제적으로 통일된 상품분류체계로 국제무역에서 무역거래 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물품별로 부여되는 품목분류번호입니다. 참고로 Harmonized System의 약자입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전 세계 사람들이 서로 헷갈리지 않고 혼동이 없도록 상품마다 서로가 약속한  Code를 부여하는 고유한 번호체계입니다. 이를 통하여 품목분류 체계를 통일화하여 다목적 품목분류번호를 부여할 수 있고 나라 간 국제무역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으며 관세율 적용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세계관세기구 WCO에서 제정을 하였으며 1988년 HS협약에 .. 2022. 12. 29.
1980년대 경제 상황 - 3저 호황, 석유 위기, 산업합리화, 경제성장율 안녕하세요. 오늘 하루도 경제적 자유를 위해 성장하고 있는 경제 지식 전파 소입니다. 오늘은 IMF 외환위기 이전 대한민국 1980년대 경제 상황에 대해 포스팅해보고자 합니다. 1997년 외환위기 때 수많은 사람들이 직업을 잃고 자영업자들은 도산하고 모두가 힘든 시기였던 것을 당시 초등학생이던 저도 어렴풋이 기억을 합니다. 그렇다면 외환위기 전인 1980년대에는 우리나라의 경제상황을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해보겠습니다. 1980년대 경제 상황 석유위기 Oil Shock 1980년대 직전이 1973년과 1979년 두 번의 석유위기가 있었습니다. 참고로 석유위기는 영어로 oil shock라고 합니다. 첫 번째 석유위기는 중동전쟁으로 인하여 발생을 하였고 두 번째 석유위기도 역시 중동에서 발발이 되었습니다.. 2022. 12. 17.
저출산의 원인과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이번 시간은 우리나라가 직면한 큰 문제 중 하나인 저출산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저는 30대이여 맞벌이 부부로 자녀 2명을 양육하고 있습니다. 아이들 양육비로 나가는 돈을 보았을 때 우리 사회가 왜 저출산을 직면하게 되었는지 간접적으로 느껴지고 있답니다. 서론 - 저출산이란 저출산이란 글자 그대로 사회 전반적으로 아이를 적게 낳아서 출산율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대한민국의 출산율은 꾸준히 감소를 하고 있으며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18년부터는 부부당 1명 이상 출생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인구를 유지하려면 적어도 부부당 2명은 나아야 하는데 1명도 되지 않고 점점 줄어드는 추세로 심각한 상황으로 생각이 됩니다.    아직 2022년도 통계는 없어서 2021년도까지.. 2022. 1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