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1 경제학 공부

총공급곡선 - 불완전 정보모형, 임금경직성 모형, 가격경직성 모형

by 경제 지식 전파소 2023. 12. 20.
300x250

불완전 정보모형, 임금경직성 모형, 가격경직성 모형
불완전 정보모형, 임금경직성 모형, 가격경직성 모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른 새벽의 아름다운 시간에 여러분과 함께 경제 지식을 나누고자 하는 경제 전문 소입니다. 오늘은 경제학의 중요한 개념인 총공급곡선 모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특히, 불완전 정보 모형, 임금 경직성 모형, 그리고 가격 경직성 모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 것입니다. 이러한 모형들은 경제 내에서 공급 측면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명해 줍니다.

 

각 모형은 시장의 미세한 변화나 정책의 영향에 대한 공급자의 반응을 다루며, 이는 재테크와 경제적 자유를 추구하는 분들에게 매우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입니다. 재테크 성공을 위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이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도 함께 차근차근 풀어가며, 여러분 모두가 이로운 지식을 얻어 가실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함께 성장하는 이 시간을 즐겨주세요.

 

 

새고전학파의 불완전 정보 모형이란

 

 

새고전학파의 불완전 정보 모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불완전 정보모형은 영어로 'Imperfect Information Model'이라고 불리며, 경제 주체들이 모든 정보를 완전히 알지 못하고, 오해하거나 잘못 해석할 수 있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모형은 거시경제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는 경제 주체들이 불완전한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을 내리고, 이러한 결정들이 전체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소비자나 기업들이 미래의 경제 상황을 완벽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들을 이 모형을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 모형에서는 모든 경제 주체가 합리적 기대를 한다고 가정합니다. 또한, 고전학파의 특징을 따라, 가격 변수는 신축적으로 간주됩니다. '새고전학파'라는 이름에는 이 두 가정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새'는 합리적 기대를, '고전'은 가격 변수의 신축성을 나타냅니다.

 

새고전학파 - 불완전 정보모형
새고전학파 - 불완전 정보모형

 

이 모형에 따르면, 기업들은 자신이 만드는 제품의 가격은 잘 알고 있지만, 다른 기업들이 만드는 제품의 가격 정보는 잘 모릅니다. 이것이 바로 정보의 불완전성입니다.

 

예를 들어, 전반적인 물가가 상승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상황에서 모든 재화의 가격이 동일한 비율로 상승하면, 상대 가격 체계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전반적으로 가격이 올라가게 됩니다.

 

이때, 개별 기업이 만드는 제품의 가격만 상승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생산량을 증대시킬 이유가 없습니다. 하지만, 기업이 자신의 제품 가격이 상승했다고 착각하여,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인식하지 못한다면, 생산을 늘리게 됩니다.

 

예를 들어, 제품 X, Y, Z가 각각 100원, 200원, 300원일 때, X의 가격만 150원으로 상승한다면, 상대 가격 체계에 변화가 발생하여, X 제품의 생산을 늘릴 이유가 생깁니다.

 

하지만, 모든 제품의 가격이 50% 상승하여 전반적인 물가 상승이 일어났다면, X 제품의 생산을 늘릴 필요가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개별 기업은 자신의 제품 가격만 상승한 것으로 오해하여 생산을 늘리게 됩니다.

 

이러한 착각과 정보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일부 기업들은 생산을 늘리게 되고, 일부는 그렇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전체 산업계에서는 착각하는 기업들로 인해 생산이 증가하게 됩니다.

 

착각하는 기업이 많아질수록, AS곡선의 기울기는 완만해집니다. 이는 생산량 증가 폭이 클 것임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착각에 빠지는 기업이 적을수록 AS곡선은 급경사를 이루며, 생산량 증가 폭은 적어집니다.

 

고전학파의 관점에서는 모든 경제 주체가 완벽한 정보를 갖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따라서, 고전학파에 따르면 AS곡선은 수직을 이룹니다.

 

정리하자면, 합리적 기대와 가격 변수의 신축성을 고려하더라도, 가격 정보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물가 상승 시 생산을 늘리는 착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AS곡선이 우상향하는 모습을 취하게 만듭니다. 핵심은 AS곡선의 기울기가 아니라, 왜 단기 AS곡선이 우상향하는가에 있습니다. 이는 바로 가격 정보에 대한 불완전성 때문입니다.

 

 

새케인즈학파의 임금 경직성 모형

 

 

새케인즈학파의 명목임금 경직성 모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명목임금 경직성 모형은 영어로 "Nominal Wage Rigidity Model" 또는 "Sticky Wage Model"로, 시장 조건의 변화에 임금이 빠르게 반응하지 못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새케인즈학파 - 임금경직성 모형
새케인즈학파 - 임금경직성 모형

 

 

이 모형에서, 기업들은 노동자와 고용 계약을 체결하며, 근로계약 기간 동안 명목임금이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우리 일상에서도 이러한 현상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연초에 회사와 연봉 계약을 맺고, 연봉 5,000만 원으로 정해진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그 해 동안 연봉은 물가 변화와 상관없이 5,000만 원으로 고정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근로계약 기간 중에 물가가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명목임금이 고정되어 있으면, 노동 공급자들이 받는 실질 임금은 사실상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실질임금이 감소하면, 기업가들에게는 노동 고용을 늘릴 이유가 생깁니다. 물가 상승률이 임금 상승률보다 높기 때문에, 생산을 늘릴수록 기업에게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노동 공급자들은 실질적인 보수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노동 공급을 줄이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로계약 기간 동안 명목 임금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 노동 공급을 줄이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노동 공급곡선은 근로계약 기간 동안 그대로 유지됩니다. 이 상황에서 노동 수요만 증가하면, 균형 고용량은 증가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산출량도 증가하게 되며, 이는 물가가 상승하면 산출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단기 AS곡선이 우상향하는 모습을 가진다는 것을 뒷받침합니다.

 

결국, 기업들은 근로계약 기간 동안 정해진 임금을 지불하고, 물가가 상승하더라도 실질임금의 하락으로 인해 노동 수요가 증가합니다.

 

반면에, 노동 공급자들은 근로계약 조건에 따라 일정한 노동을 제공해야 하므로, 노동 공급은 변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고용량이 증가하고, 결국 산출량도 증가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AS곡선이 우상향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새케인즈학파의 가격 경직성 모형

 

 

새케인즈학파의 가격 경직성 모형을 살펴보겠습니다.

 

가격 경직성 모형은 영어로 "Price Rigidity Model" 또는 "Sticky Price Model"로, 시장의 수요와 공급 변화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즉각적으로 조정되지 않는 현상을 설명하는 경제 이론입니다.

 

이 모형은 특히 단기적으로 가격이 고정되어 있어 경제가 외부 충격에 더디게 반응하는 상황을 다룹니다.

 

기업들은 가격이 변동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을 신축적으로 조정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그 주된 이유는 '가격 조정 비용' 또는 '메뉴 비용' 때문입니다. 이 둘은 같은 의미입니다.

 

메뉴 비용(가격 조정 비용)이란 가격 조정에 수반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한 커피숍에서 아메리카노의 가격을 4,000원에서 4,500원으로 올리려고 할 때, 이를 반영하기 위해 메뉴판을 새로 인쇄하고, 벽에 붙어 있는 가격표를 변경하는 등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비용은 메뉴판 인쇄뿐만 아니라, 포스 시스템의 가격 정보 업데이트에도 해당됩니다. 이것이 바로 협의의 메뉴 비용으로, 제품 가격 변경 시 발생하는 직접적인 비용을 나타냅니다.

 

메뉴 비용의 개념을 확장하면, 고객의 실망이나 혼란과 같은 간접적인 비용도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커피숍의 아메리카노 가격이 4,000원인 줄 알고 방문했다가 4,500원으로 인상된 것을 알고 실망해 다른 곳으로 가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고객의 실망 비용도 가격 조정 비용에 포함됩니다.

 

더 나아가, 만약 한 중소기업이 여러 기업에 납품하면서 납품 단가를 올리려고 한다면, 각 기업과의 협상과 거래 중단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가격 인상으로 인한 거래 중단이 발생하면, 그것도 가격 조정 비용의 일부로 볼 수 있습니다. 결국, 어떤 기업이 자신이 판매하는 제품의 가격을 변경하면, 이와 관련된 모든 비용을 '메뉴 비용'이라고 합니다.

 

이 메뉴 비용이 상당히 클 경우, 기업은 가격을 변경하는 데 망설일 수 있습니다. 이익보다 비용이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제, 물가 상승 시 가격을 인상하는 기업(그룹 1)과 인상하지 않는 기업(그룹 2)으로 나누어 생각해 보겠습니다.

 

그룹 1은 물가 상승 시 가격을 올리며, 이로 인해 생산량을 증가시킬 이유가 없습니다. 반면, 그룹 2는 가격을 인상하지 않음으로써 고객 수요를 끌어들이고, 이에 따라 생산량을 증가시킵니다.

 

결국, 시장 전체적으로 물가 상승 시에 생산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룹 2의 비중이 클수록, 물가 상승에 대한 생산량의 증가 폭은 더 커지며, AS곡선은 더욱 완만한 기울기를 가지게 됩니다.

 

고전학파에서는 가격 변수의 신축성을 전제하므로, 메뉴 비용이 없다고 보며, 이에 따라 AS곡선은 급경사를 이룰 수 있습니다.

 

반면, 케인즈학파는 메뉴 비용을 중시하기 때문에, 산업 내 그룹 2의 비중이 크다고 보며, 이에 따라 AS곡선은 완만한 기울기를 갖게 됩니다.

 

이는 가격 경쟁이 클수록, 즉 메뉴 비용이 클수록 AS곡선의 기울기가 더 완만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새케인즈학파 가격경직성 모형
새케인즈학파 가격경직성 모형

 

 

지금까지 우리는 총공급곡선 모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불완전 정보 모형, 임금 경직성 모형, 그리고 가격 경직성 모형을 자세히 살펴보았죠. 이러한 모형들은 경제 내에서 기업과 노동자가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귀중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여러분이 성공적인 재테크를 위한 지식을 얻으셨기를 바랍니다. 이러한 이론들은 경제적 결정을 내릴 때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여러분의 재테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이 포스팅은 제 개인적인 학습과 견해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저작권을 존중해 주시기 바라며, 불법 복제나 펌은 금지되어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여러분의 이해와 협조에 감사드립니다.

 

 

 

 

 

 

300x250

댓글